내 블로그 목록

레이블이 위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위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수요일, 9월 09, 2009

위키백과 10만을 돌파하다!!

2009년 6월 4일 한국어 위키백과가 드디어 10만 항목을 돌파하여 백과사전으로서 틀을 갖추게 되었다.


위키백과의 영문 자료수가 120만에 즈음했을 때 영국의 저명한 백과사전인 브리태니커는 출판 포기를 심각하게 고려하였다. 브리태키니커 뿐만아니라 모든 백과사전을 서비스하는 업체에 있어서 위키백과는 치명적이다. 2009년 6월 4일을 기준으로 한국어 위키백과는 10만을 돌파하였고, 영문 위키백과의 자료수는 280만, 중국어는 25.5만, 일본어는 59.14만에 이르렀다.

 10만을 돌파한 한국어 위키백과

불평등한 매체
위키백과는 전혀 평등하지 못한 매체이다. 위키백과의 영향력은 위키 참가 또는 사용 인구가 많을 수록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문화적, 언어적 빈익빈부익부의 매체이다. 위키백과는 언어와 지식의 격차를 심화시키며, 언어권 국력과 인구에 의해 좌우된다. 즉, 나라와는 상관없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고 잘 사는 나라일수록 내용이 풍부해 질 수 밖에 없다.

겨우 두번 째 탭 (중간 좌측)에 위치한 한국어 위키백과 

전세계의 지식유산
위키백과에서 가장 당황하게 하는 것은 국가의 개념이다. 물론 전세계적으로 당연할 지 모르겠지만, 북한이라는 말은 한국어 위키백과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약간 낯선 국명을 만난다. 또한 중국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 민국으로 국가의 개념을 구별한다.
한국어도 한국 사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북한과 재일교포, 조선족과 까레이스키와 같은 북한 문화어 사용자와 재미교포, 재일교포 등 재외교포 중 서울 표준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모든 한민족들이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 위키백과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대한민국 표준어를 중심으로 저작될 수 밖에 없다.


정치적인 파워
이렇듯 백과사전이 미치는 영향은 단지 백과 사전에 국한되지 않는다. 정치적인 파워에도 위키백과는 치명적이다. 2005년 10월 26일 위키백과는 중국 인터넷 당국이 위키백과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물론 북한도 위키백과의 차단국 중에 하나이다. <천안문 사태>와 같은 항목은 중국으로서는 너무나도 민감하지만, 거의 모든 언어로 위키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기 때문에, 부담이 아닐 수 없으며, 북한도 김일성이나 김정일 등의 인물 소개서 부터 공개되는 체제 유지가 위험한 그런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위키를 공개하기 힘들 뿐더러 인프라 자체도 썩 좋지 못하다. 한국도 북한이나 중국과 별 다를 바 없다. 체제와 정치 시스템의 우세를 확신하지 못하고, 북한 관련 모든 사이트는 차단하고 있다.

이것은 위키백과의 장점 중에 하나는 동일한 항목에 대해,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장점에서 기인하였다. 결국 전 세계 언어로 홍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정치적으로 현실을 공개할 수 없는 나라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다국어의 장점 때문에 일본과 같은 나라에서는 지방자치체가 홍보를 위해 꼼꼼한 지원을 한 흔적이 나타난다. 아시아에서는 자료량이 가장 많은 일본어 위키백과를 보면, 지방 곳곳까지, 작은 철도역 하나까지 세세한 정보가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인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2009년 3월 26일까지 진행된 다음-위키백과 - 서울시의 <서울시 지식공유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이용 사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자료는 여전히 외국보다 빈약한 곳이 많다.


위키백과는 중립?
위키백과는 표면적으로 중립성을 고수하며, 진실을 옹호한다. 말 그대로 표면적이다. 위키백과는 협업에 의해 만들어지는 백과사전이며, 사용자가 모두 극우나 극좌라면 그 정보 내용이 그대로 반영된다. 이의를 제기하면, 토론에 의해 내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독자적 연구금지!"와 같은 조항이 있기는 하지만, 독도나 기타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보면, 여전히 그 나라의 입장을 반영한다. 독도의 일본어를 누르면, '쓰시마섬, 시마네현'(竹島 (島根県)으로 연결되며, 영어를 누르면, '리앙쿠르 락스'(Liancourt Rocks)로 연결된다. 양쪽에서 주장하는 역사적인 근거가 다르니 주석을 나타내는 Reference에도 각자의 주장에만 신경을 쓴다. 관리자는 언어권 별로 있으니,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다양한 서비스 연계
위키백과는 다른 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장 많은 이익을 보는 것은 물론 포털이다. 유료로된 백과사전을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백과사전의 빈틈을 위키는 착실히 메워준다.
구글 어스는 위키와 연계된 가장 편리한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조선 왕릉을 보자,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으로 등록될 가능성이 높은 능묘의 정보엔 위성좌표가 꼼꼼하게 표시되어 있다. 이것을 클릭하면 외부의 창이 떠서 구글 맵 등의 서비스로 연계된다.


구글 어스에 들어가서도 위키백과의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연계되어 있다. 물론 옵션이니 체크가 된 상태여야 한다.

10만 돌파의 의의
비록 겨우 10만을 돌파하였지만, 위키백과의 잠재력은 여전히 무한하다. 위키백과의 특성 상 서비스 이용자수나 필자로 참여하는 사용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참여의 문턱이 높은 것은 개선해야 할 사항 중의 하나이다.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계정 사용자 중 9/10는 거의 참여를 하지 않는 휴면 사용자이고, 바꿔 말하면 10명 중 9명은 탈락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GFDL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키의 문법을 이해하고, 위키백과의 룰에 적용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에 있다. 현실적으로 대학생 이상의 제대로된 리포트를 쓸 수 있는 이용자(베끼지 않고 자체적으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이용자)와 외국어 능력이 어느 정도 가능한 이용자만 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요일, 9월 03, 2009

못된 정치인들, 기록하면 퇴출시킬 수 있다!!

위키의 미래는 이미 화려하다. 1)

세계적인 백과사전 업체인 브리태니커가 두 손을 들 정도로 강력하다. 또한 순수한 양질의 자료량으로 따지면, 강력한 블로그를 가진 네이버도 2년 이내에 결국 손들 수 밖에 없으리라 주장한다.

따라서 나는 위키의 중립성을 옹호하지 않지만, 기록매체로 아주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위키의 중립성은 독도를 독도와 다케시마로 기록하게 하며, 리앙쿠르 락스라는 명칭을 표준으로 사용하게 한다.)

이 위키피디아는 위키피디아 재단의 소유로 대한민국 법에  적용을 받지 않으면서도 전세계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따라서 정치적으로는 자유롭다.

정치인의 망언이나 잘못된 법규, 과실 등 모든 자료를 기록할 수 있으며, 선거 때 참조할 수 있다. 이것을 여야를 떠나 평등하다.

이들의 행동 하나하나, 실언 한마디 한마디를 기록함으로써 좋은 정치인들은 키우고, 나쁜 정치인은 충분히 퇴출시킬 수 있으리라 주장한다.

---------------
※PS1: 위키피디아는 다음(DAUM)에는 하루를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네이버는 1주일 걸려서 반영된다.

※PS3: 어떤 분은 위키의 형식에 맞지도 않은 문서로 화풀이 하려고 하는데, 이런 문서는 단번에 퇴출된다. 뉴스 인용 등의 출처를 밝히면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주석 1)
우리가 6만건에서 7만건에 도달할 동안, 중국은 17만건에서 20만건에 도달했다. 위키의 분량이 중국은 20만건, 일본은 51만건, 미국은 240만건, 한국은 겨우 7만건에 도달했다.

[위키] 주석 만들기 - 인용



위의 복잡하게 보이는 문서를 편집을 클릭해보면 다음과 같이 단 한줄로 나타난다...!!!

주석을 만드는데 필요한 문법은 덜렁 하나!!!

꺽쇠를 하고 References / 이 부분이다.


그럼 내용은 어떻게 생길까? 주석인용된 것을 출력하는 기능이다.


인용의 형식

 

〈ref〉 아래의 1~3〈/ref〉

맨 앞에 ref를 맨 뒤에 /ref를 붙이고 중간에 아래와 같이 삽입하면 된다.

 

1. 단순형: [http://www.site.com]

2. 뉴스 인용

{{뉴스 인용

|제목=한국초대석-반크 박기태 단장

|작성일자=2005-03-23

|저자=정병욱 기자

|출판사=한국일보 |url=http://weekly.hankooki.com/lpage/people/200503/wk2005032319551837470.htm

}}


3. 웹 인용

웹 사이트에 있는 내용을 근거로 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웹 인용

|url=http://www.suntimes.com/output/tech/cst-fin-feed06.html

|제목=Helping publishers, bloggers get the word out

|출판사=[[시카고 선 타임즈]]

|작성일자=2005-09-06

|확인일자 =2006-08-10

}}


본문에서 이렇게 해 놓으면 주석에서 순서대로 1. 2. 3. ... 처럼 번호로 출력된다.

 

※ 인용과 주석이 중요한 것은 단순히 출처를 밝히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위키의 객관성중립성을 담보하는 효율적인 수단이라는 것이다. 특히 인용의 근거자료가 신뢰도가 높은 경우 더 효과적이다.

 

신문의 경우 극우신문이나 신뢰도가 낮은 잡지보다는 소비자 신뢰도가 높은 것일수록 더욱 효과적이다.



위키의 미래(2년 후)

위키의 미래는 이미 화려하다. 다른 나라의 자료를 보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문 자료와 같은 경우는 120만 정도로 세계 최대의 백과사전 업체인 브리태니커를 손들게 했다. 미안하지만, 아직 한국은 그 1/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위키의 분량

우리가 6만건에서 7만건에 도달할 동안, 중국은 17만건에서 20만건에 도달했다. 2008년 07월 31일 기준 위키의 분량은 중국이 20만건, 일본이 51만건, 미국이 240만건, 한국은 겨우 7만건에 도달했다. 2009년 6월 4일 우리가 10만건에 드디어 도달했을 때는 중국은 25만건, 일본은 60만건, 미국은 290만건으로 격차는 더욱 더 벌어지고 있다. 2009년 9월 현재에는 미국이 300만건에 이미 도달해 실질적으로 영문 자료는 세계 최강의 백과사전이 되었다.

위키의 진정한 위력

위키의 파괴력은 체계적인 자료 정리이다. 그 백과사전의 질에 관해서는 더 이상 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네이버나 다음이 가지고 있는 자료를 2년 이내(2010) 앞지를 수 있다. 물론 성격 자체가 틀리기 때문에, 비교의 대상이라 할 수는 없다. 위키가 백과사전이라면, 포털의 컨텐츠는 팁과 여행기 등 수필에 가까운 단편화된 정보들이다. 즉, 둘은 베타적인 관계라기 보다는 상보적인 관계라는 것이다.

결국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욕구를 더욱 더 잘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도구라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 및 기관들의 지원

제주도를 소개하는 위키의 자료를 보라. 일본어나 영어 자료보다 못하다. 일본이나 중국의 위키를 보면, 놀라울 정도로 정리가 잘 되어 있다. 특히 일본이나 미국은 아예 지방자체 단체나 정부 등에서 체계적인 예산 지원을 받아서 작업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위키 자체가 관광안내 자료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국언어로 된 곳은 놀라울 정도로 세세하다. 이런 것들은 감히 브리태니커가 어떻게 해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자방자치 단체에서도 위키로 지자체를 홍보할 한 명의 파트타이머를 고용할 예산을 따로 마련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3개월을 작업 시킨다고 할 지라도 500만원의 예산이면 충분하다. 이미 서울시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마쳤고, 다른 지자체들고 이러한 움직에 참여를 해야 한다. 특히 국제행사를 열겠다고 하는 지자체는 위키만이 그 통로가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위키백과 10만을 돌파하다!

2009년 6월 4일 한국어 위키백과가 드디어 10만 항목을 돌파하여 백과사전으로서 틀을 갖추게 되었다.


위키백과의 영문 자료수가 120만에 즈음했을 때 영국의 저명한 백과사전인 브리태니커는 출판 포기를 심각하게 고려하였다. 브리태키니커 뿐만아니라 모든 백과사전을 서비스하는 업체에 있어서 위키백과는 치명적이다. 2009년 6월 4일을 기준으로 한국어 위키백과는 10만을 돌파하였고, 영문 위키백과의 자료수는 280만, 중국어는 25.5만, 일본어는 59.14만에 이르렀다.


10만을 돌파한 한국어 위키백과

불평등한 매체

위키백과는 전혀 평등하지 못한 매체이다. 위키백과의 영향력은 위키 참가 또는 사용 인구가 많을 수록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문화적, 언어적 빈익빈부익부의 매체이다. 위키백과는 언어와 지식의 격차를 심화시키며, 언어권 국력과 인구에 의해 좌우된다. 즉, 나라와는 상관없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고 잘 사는 나라일수록 내용이 풍부해 질 수 밖에 없다.


겨우 두번 째 탭 (중간 좌측)에 위치한 한국어 위키백과


전세계의 지식유산

위키백과에서 가장 당황하게 하는 것은 국가의 개념이다. 물론 전세계적으로 당연할 지 모르겠지만, 북한이라는 말은 한국어 위키백과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약간 낯선 국명을 만난다. 또한 중국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 민국으로 국가의 개념을 구별한다.

한국어도 한국 사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북한과 재일교포, 조선족과 까레이스키와 같은 북한 문화어 사용자와 재미교포, 재일교포 등 재외교포 중 서울 표준어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모든 한민족들이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 위키백과를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대한민국 표준어를 중심으로 저작될 수 밖에 없다.


정치적인 파워

이렇듯 백과사전이 미치는 영향은 단지 백과 사전에 국한되지 않는다. 정치적인 파워에도 위키백과는 치명적이다. 2005년 10월 26일 위키백과는 중국 인터넷 당국이 위키백과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물론 북한도 위키백과의 차단국 중에 하나이다. <천안문 사태>와 같은 항목은 중국으로서는 너무나도 민감하지만, 거의 모든 언어로 위키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기 때문에, 부담이 아닐 수 없으며, 북한도 김일성이나 김정일 등의 인물 소개서 부터 공개되는 체제 유지가 위험한 그런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위키를 공개하기 힘들 뿐더러 인프라 자체도 썩 좋지 못하다. 한국도 북한이나 중국과 별 다를 바 없다. 체제와 정치 시스템의 우세를 확신하지 못하고, 북한 관련 모든 사이트는 차단하고 있다.


이것은 위키백과의 장점 중에 하나는 동일한 항목에 대해,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장점에서 기인하였다. 결국 전 세계 언어로 홍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정치적으로 현실을 공개할 수 없는 나라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다국어의 장점 때문에 일본과 같은 나라에서는 지방자치체가 홍보를 위해 꼼꼼한 지원을 한 흔적이 나타난다. 아시아에서는 자료량이 가장 많은 일본어 위키백과를 보면, 지방 곳곳까지, 작은 철도역 하나까지 세세한 정보가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인식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2009년 3월 26일까지 진행된 다음-위키백과 - 서울시의 <서울시 지식공유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이용 사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자료는 여전히 외국보다 빈약한 곳이 많다.



위키백과는 중립?

위키백과는 표면적으로 중립성을 고수하며, 진실을 옹호한다. 말 그대로 표면적이다. 위키백과는 협업에 의해 만들어지는 백과사전이며, 사용자가 모두 극우나 극좌라면 그 정보 내용이 그대로 반영된다. 이의를 제기하면, 토론에 의해 내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독자적 연구금지!"와 같은 조항이 있기는 하지만, 독도나 기타 정치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보면, 여전히 그 나라의 입장을 반영한다. 독도의 일본어를 누르면, '쓰시마섬, 시마네현'(竹島 (島根県)으로 연결되며, 영어를 누르면, '리앙쿠르 락스'(Liancourt Rocks)로 연결된다. 양쪽에서 주장하는 역사적인 근거가 다르니 주석을 나타내는 Reference에도 각자의 주장에만 신경을 쓴다. 관리자는 언어권 별로 있으니,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


다양한 서비스 연계

위키백과는 다른 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장 많은 이익을 보는 것은 물론 포털이다. 유료로된 백과사전을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백과사전의 빈틈을 위키는 착실히 메워준다.

구글 어스는 위키와 연계된 가장 편리한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조선 왕릉을 보자,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으로 등록될 가능성이 높은 능묘의 정보엔 위성좌표가 꼼꼼하게 표시되어 있다. 이것을 클릭하면 외부의 창이 떠서 구글 맵 등의 서비스로 연계된다.


구글 어스에 들어가서도 위키백과의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연계되어 있다. 물론 옵션이니 체크가 된 상태여야 한다.


10만 돌파의 의의

비록 겨우 10만을 돌파하였지만, 위키백과의 잠재력은 여전히 무한하다. 위키백과의 특성 상 서비스 이용자수나 필자로 참여하는 사용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참여의 문턱이 높은 것은 개선해야 할 사항 중의 하나이다.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지만, 계정 사용자 중 9/10는 거의 참여를 하지 않는 휴면 사용자이고, 바꿔 말하면 10명 중 9명은 탈락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GFDL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키의 문법을 이해하고, 위키백과의 룰에 적용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에 있다. 현실적으로 대학생 이상의 제대로된 리포트를 쓸 수 있는 이용자(베끼지 않고 자체적으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이용자)와 외국어 능력이 어느 정도 가능한 이용자만 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키] 독도 사진 이야기 ...

위키에는 독도 사진이 별로 없다. 사진 확보를 위해 관련 단체 모두 메일링을 보내봤다.


- 독도연구소

- 독도유람선

- 독도경비대

- 각종 지방 단체


독도경비대에서 수고한다 한마디만 했을 뿐 협조를 해준 단체는 한 곳도 없었다. 그래서 지금 올라가 있는 사진은 네이버 이용자 머찐만두님의 독도 사진이 유일하다.


반크에서 다른 곳의 오류를 잡는 것은 기특하나, 우리 것 홍보부터 제대로 해야 되지 않을까?


예산 쓸 것도 없이, 독도경비대에서 이미지를  GFDL로 공개하면, 지금보다 100배의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내가 요청한 자료는


- 독도 경비대의 모습

- 삽살개의 모습

- 각종 행사자료

- 대한민국령이라고 씌여진 바위 사진


등이었다. 혹시 사진 있는 사람 여기 기부 좀 하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