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블로그 목록

레이블이 영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영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목요일, 9월 03, 2009

[초등 2 영어] Spectrum Writing Grade 3

Spectrum Writing Grade 3

- 출판사: School Specialty publishing

- 글쓴이: Mercer Mayer


이 교재는 초급 영작 서적으로 어떻게 글을 전개해 나가야 하는 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작문을 처음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 초보자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핵심문장(Main Idea)와 주제(Topic)에 머물러서 글을 쓰는 방법 등을 다르고 있다.


초등 2학년 딸 아이가 보는 교재로 미국에서도 8~9세용이다. 한국에서 난이도는 초등학교에서 영작을 처음하는 고3까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영작을 처음 접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아주 좋은 책이다.




-----------------------------------------------------

Chapter 1 Ficusing on Main Idea

Lesson 1 See the Main Idea (핵심 문장 알기)

Lesson 2  Add a Title(제목 붙이기)

Lesson 3 Name a Story / Write a Title

Lesson 4 Find the Main Idea

Lesson 5 Build Sentences and Paragraphs

Lesson 6 Stay on Topic (주제를 고수하기)


Chapter 2 Organizing Idea

Lesson 1 The Writing Process

Lesson 2  List It

Lesson 3 Sort Your List

Lesson 4 Make an Idea Web

Lesson 5 Make a Time-Order Chart

Lesson 6 When Did It Happen?

Lesson 7 Use Spatial Order

Lesson 8 How Important Is It?

Lesson  9 Compare It with a Venn

Lesson 10 How to Compare


Chapter 3 Writing Your Own Thoughts

Lesson 1 Write for You

Lesson 2 Who Will Read It?

Lesson 3 Parts of Friendly Letter

Lesson 4 Dear Friend

Lesson 5 Dear Teacher

Lesson 6 It Happened to Me

Lesson 7 The Writing Process: Personal Narrative


Chapter 4 Writing to Inform or Explain

Lesson 1  Use Complete Sentences

Lesson 2 Action!

Lesson 3 How to Do It

Lesson 4 Fact or Opinion

Lesson 5 This is How It Happed

Lesson 6 Special Instructions

Lesson 7 It Is Just Around the Corner

Lesson 8  Ask The Right Qustion

Lesson 9 The Writing Process: News Story


가격

미국은 약 $9.95, 한국에서는 11,700원(Yes24 기준) 정도 한다. 동일한 제목의 교재가 있으니, 책의 커버로 구별해야 한다.

-------------------------------------------------

http://www.schoolspecialtypublishing.com/store/item.aspx?isbn=0769683231&referral=googlebook#expandeddescription

수요일, 9월 02, 2009

영작5 - 논리의 전개

자신의 논리를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보통 반대의 의견을 낼 때 다음과 같은 것으로 시작한다.  이것은 Negative한 자세와는 분명 다름을 명심하라. Negative한 글은 그리 환영받지 못한다.

1. Contradiction(반박)

  • On the contrary ~

그리고 자신의 주장을 펼칠 때는 다음과 같은 것을 제시한다.

1. Examples(예시)

  • For example,
  • To illustrate,
  • Specifically,
  • In particular


2. Information (정보)

  • In addition,
  • Moreover,
  • Furthermore,


3. Clarification(부연설명)

  • In other words
  • In simpler words
  • More simply


4. Reason or cause(원인과 이유)

  • Because
  • Since
  • For


5. Comparision(비교)

  • Similarly,
  • Likewise,
  • In the same way,


6. Contrast(대조)

  • But
  • While
  • Although
  • In contrast
  • However
  • On the other hand
  • Conversely
  • Instead


7. Emphasis(강조)

  • In fact
  • actually


8. Concession(양보)

  • Yet
  • Although
  • Though
  • Even though
  • It may appear that
  • Nevertheless
  • Even so
  • Admittedly
  • Despite this

9. Result(결과)

  • So
  • So that
  • As a result
  • As a consequence
  • Consequently
  • Therefore
  • thus

영작4 - 피해야할 단어와 표현

Words to avoid

얼마 전 8월 중에 딸에게 TOSEL JUNIOR 모의고사를 보게 했다. 어떤 출판사라고 얘긴 못하겠지만, 이런 문장이 있었다.


"It rains cats and dogs!"


그 후 한 미국인이 TV에 나와서 요즘 사용하지도 않는 그딴 표현들을 한국 학생들은 공부한다고 비꼬았다. 그 책에는 시계를 보는 예문에 "quarter to seven" 이라는 예제까지 있었는데, 이런 표현조차 잘 사용하지 않는다. 이미 디지털화된 시계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전자의 경우


"It rains heavily!" 또는 "It rains so much!"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하며, 후자의 경우는  


six forty five!!


또는 15분 전이라는 의미라고 양보를 하더라도


fifteen to seven


이런 식으로 직설적으로 표현한다. 길을 지나는 미국, 영국 사람 100명에게 묻는다면 할아버지 할머니 빼고는 quarter라는 표현을 하지 않을 것이다. quarter는 말 그대로 1/4 또는 25%를 얘기하는데 12진법인 시계에서는 15분이 된다. 오히려 아이들을 더 헷갈리게 할 뿐이다. 아날로그 시계가 일반적이던 19세기에서 1960~80년 대에나 유행하던 말이다. 이말은 아래의 표현보다 더 구닥다리이다.

 

"요즘 김민호(꽃남의) 브라운관에서 자주 보이더라!"

 

(예전엔 TV의 대명사가 브라운관이었다.)

20년 전 내가 영어를 배우던 미국인 선생님도 이런 표현은 할아버지, 할머니들이나 사용하는 표현이라고 했는데 21세기에도 이런 말들을 아이들에게 강요해야 할까? 현지에서 죽어가는 말일 지라도 한국에서는 잘 보존된다. 과연 잘 하는 짓일까?


요즘 누가 sweet heart 와 같은 말을 쓰는가? 이러한 말들은 그저 girl friend, boy friend와 같이 직설적으로 사용한다. lover라는 말 조차도 문어체적인 냄새가 물씬 풍긴다. 우리의 경우도 그렇지 않은가? 필자가 어릴 때만 해도 "동무"라는 말은 "친구"와 비슷한 뉘앙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요즘 누가 이런 말을 사용이나 한다던가? 좀 오래된 70년대~80년 대 중반의 문학 작품에서나 볼 수 있는 단어들이다. 또한 여러분들이 "걔네들 연인이야?"라는 말을 사용하는가? "걔네들 애인이지?" 또는 "걔네들 애인 사이지?"라고 말 하지 않는가?

   언어의 범주에는 문법적으로는 틀리지는 않지만, 시간이 흘러 관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말들이 많으며, 또한 미국은 우리나라나 영국과 같은 규범주의 문법이 아니라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곧 문법인 기술주의 문법을 따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표현이 아이들이 보는 TOSEL 모의고사 문제집(TOSEL KING JUNIOR 든가?)에  있다는 것 자체가 놀랍다. 물론 외우게는 했다. 하지만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말이라고 다시 한번 입 아프게 얘기해 주었다. 적어도 미국이나 영국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마친 Native에게 한번이라도 감수를 제대로 받았다면 이런 예제를 싣지 않았을 것이다. (역시 TOSEL은 EBS 기출문제가 최고다!)


아래의 단어들은 가급적이면, 뒤의 단어를 사용해라. 훨씬 현대적이며, 간결하고 세련되게 보인다.


l  additional       (extra)

l  advise             (tell)

l  applicant        (you)

l  commence     (start)

l  complete        (fill in)

l  comply with   (keep to)

l  consequently (so)

l  ensure            (make sure)

l  forward           (send)

l  in accordance with (under, keeping to)

l  in excess of   (more than)

l  in respect of (for)

l  in the event of (if)

l  on receipt       (when we/you get)

l  on request     (if you ask)

l  particulars     (details)

l  per annum     (a year)

l  persons          (people)

l  prior to            (before)

l  purchase        (buy)

l  regarding       (about)

l  should you wish (if you wish)

l  terminate        (end)

l  whilst              (while)

영작3-명사화(Nominalization)

1. 명사화란?
Nominalization은 추상명사의 일종으로, 실체를 가지지 못한 명사나 과정, 기교, 감정 등을 말한다. Nominalization은 동사에서 형성되며 예제는 다음과 같다.


 VERBNOMINALIZATION
 Complete
completion
 introduceintroduction
 proviceprovision
 fail
failure
 arrangearrangement
 investigateinvenstigation
 useutilization


2. 뭐가 잘못되었지?
흔히 글을 쓸 때 너무 과도한 명사화(Nominalization)를 쓰는 것은 문장을 둔하게 만들거나 매끄럽지 않은 진행(heavy-going)을 만들 수도 있다. 아래의 예제는 너무 과도한 Nominalization을 이용한 문장이며, 괄호 안은 그것을 수정한 것들이다.

예제1

We had a discussion about the matter.

(We discussed the matter.)

 

The report made reference to staff shortages.

(The report referred to staff shortages.)

 

The decision was taken by the Board.

(The Board decid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has been done by a team.

(A team has implemented the policy.)



영작1 - 문장(sentence)과 문단(pagagraph)

1. 문장(sentence)과 문단(paragraph)


영어 작문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는 아래의 예제1과 같다.


예제1

The Korean language is related to Japanese and Mongolian.
Although it differs grammatically from Chinese and does not use tones, a large number of Chinese cognates exist in Korean.
Chinese ideograms are believed to have been brought into Korea sometime before the second century BC.
The learned class spoke Korean, but read and wrote Chinese.


위의 예제는 문장 단위(sentence)로 끊어져 있다. 주제가 같은 여러 문장(보통 5~6 sentences)은 문단(paragraph)으로 부르며, 보통 아래와 같이 문장을 연결해서 사용해야 한다.


예제2

The Korean language is related to Japanese and Mongolian. Although it differs grammatically from Chinese and does not use tones, a large number of Chinese cognates exist in Korean. Chinese ideograms are believed to have been brought into Korea sometime before the second century BC. The learned class spoke Korean, but read and wrote Chinese.


보통 시험의 reading에 출제되는 지문(passage)은 1 paragraph 또는 2 paragraph 또는 paragraph의 일부가 출제가 된다.


2. Indentation(들여쓰기)

들여쓰기는 paragraph(문단)의 첫문장에서 이루어지며, 보통 3~5의 빈칸을 밀고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내용이 달라지는 paragraph(문단)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The Korean language is related to Japanese and Mongolian. Although it differs grammatically from Chinese and does not use tones, a large number of Chinese cognates exist in Korean. Chinese ideograms are believed to have been brought into Korea sometime before the second century BC. The learned class spoke Korean, but read and wrote Chinese.


¶¶¶Half of the population actively practices religion. Among this group, Christianity (49%) and Buddhism (47%) comprise Korea's two dominant religions. Though only 3% identified themselves as Confucianists, Korean society remains highly imbued with Confucian values and beliefs. The remaining 1% of the population practice Shamanism (traditional spirit worship) and Chondogyo ("Heavenly Way"), a traditional religion.



3. 손글씨와 워드프로세스

위의 첫번째 paragraph는 "한국의 언어"에 관한 것이며, 다음 것은 "한국의 종교"에 대한 것이다. 내용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문단을 구분한 것이며, 보통 종이에 직접 글씨를 쓸 때는 Indentation을 하고, 컴퓨터로 워드로 영작을 할 때는 들여쓰기 없이, 2 line의 공백을  주거나 손글씨와 마찬가지로 Indentation을 해준다.